2025-11-13 HaiPress
지스타 2025,부산 벡스코서 개막
메인스폰서 엔씨…‘아이온2’ 공개
관전 포인트는 스토리텔링·확장성

게임축제 ‘지스타 2025’가 개막했다. 13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 입장을 기다리는 방문객들의 대기열이 길게 늘어서 있다. [이가람 기자] “올해도 제일 먼저 왔어요. 어제 밤 10시 30분쯤에 도착했거든요. 고등학생이 되자마자 지스타 참관을 시작했으니까,5년째 1등으로 입장하고 있네요. 게임을 좋아하는 저에게는 전통 같은 거예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게임행사인 ‘지스타(G-STAR) 2025’가 열렸다. 올해 지스타는 역대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K-콘텐츠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이야기의 확장(Expand your Horizons)’을 슬로건으로 내걸은 만큼 성장성과 영향력을 보여 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13일 매경AX가 찾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는 지스타 개막 열기로 뜨거웠다. 올해 지스타는 이날부터 오는 16일까지 나흘간의 대장정에 돌입한다. 올해는 44개국에서 1273개사가 참여해 3269개의 부스를 편성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다.
게임사들은 출품작 공개·홍보에 집중하고 방문객들은 기대작 확인·시연에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실제로 전시장 곳곳에 설치된 초대형 전광판에 게임 관련 영상이 끊임없이 송출되고 있었다. 캐릭터가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화려한 이펙트가 펼쳐졌고,게임의 세계관 설명하는 영상의 신비로운 분위기에 눈길을 빼앗겼다.
방문객들도 열렬히 반응했다. 쌀쌀한 가을 날씨에도 오픈런을 단행하는 것은 기본이고,전날 밤부터 행사장 앞에서 돗자리를 펼쳐놓거나 자가용 안에서 쪽잠을 청하기도 했다. 해마다 목격할 수 있는 진풍경이다.
대기존 앞에서 만난 A씨는 “경주에서 출발해서 밤샘했다”라며 “지금 뒤에서 입장 기다리고 있는 분들도 마찬가지다. 서로 다 아는 사이가 됐다. 매년 만나니까”라고 말하며 웃었다. A씨 근처에 서 있던 B씨는 “동창회 같은 거다”라며 동의한다는 듯 고개를 끄덕였다.
A씨는 “넥슨 게임을 제일 좋아하는데 부스가 없어서 아쉽지만 다른 게임사 작품들도 궁금하다”라며 “게임산업이 서브컬처로 치부돼 게이머라고 소개하면 인식이 안 좋은 경향이 있는데,모두가 즐길 수 있는 게임들이 나오고 게임행사가 생겨서 해소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엔씨소프트 전시관. [이가람 기자] 처음으로 메인스폰서를 맡은 엔씨소프트는 기업소비자거래(BTC)관에 단독 부스 300개를 차지했다. 엔씨소프트는 오는 19일 출시 예정인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이온2를 지스타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엔씨소프트의 간판작인 아이온을 계승하는 후속작이다. 방문객이 몰릴 것으로 예상된 만큼 시연 장비도 200대나 설치했다. 청소년부터 대학생,직장인,외국인 등 다양한 방문객들의 얼굴에는 응원하는 게임사의 신작을 누구보다 빠르게 플레이해 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서려있었다.
엔씨소프트 부스에는 순식간에 시연 대기줄이 형성됐다. 엔씨소프트의 부스는 아이온 구역과 신더시티 구역으로 나뉘었다. 게임업계에서는 올해 지스타 기간에 인기 게임사의 부스에 들어가려면 2시간을 기다리게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추측을 내놓은 바 있다.
연차를 신청하고 왔다는 C씨는 “제일 혼잡도가 떨어지는 첫날을 선택했는데도 기다려야 자리가 생긴다고 들었다”라며 “게임을 좋아하는 친구들과 지스타 이야기를 나누고 사진도 주고받으며 단체 대화 중이라 심심하지 않다”고 전했다.
엔씨소프트 외에도 넷마블,크래프톤,웹젠,그라비티,네오위즈 등이 전시관을 꾸렸다. 반면 넥슨과 카카오게임즈,스마일게이트,위메이드,펄어비스 등은 쉬어간다. 우리나라 게임사들의 불참이 늘어난 가운데 글로벌 게임사들의 참여는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블리자드가 지난 2013년 이후 12년 만에 귀환하고 워호스스튜디오,배틀스테이트게임즈,세가·아틀라스,반다이남코엔터테인먼트 등이 부스를 냈다.
명일방주의 프틸롭시스 코스프레를 한 D씨는 “옷은 김해에서 출발할 때 입었고,가발은 부산에 도착해서 썼다”라며 “세가·아틀라스 부스에 가고 싶은데,좋아하는 게임을 만든 곳”이라고 설명했다.
청소년 코스어라는 E씨는 “부모님께 부산에 간다고 통보했더니 ‘또 늦게 오겠네’라고 대답하셨다”라며 “코스프레 의상으로 갈아입은 뒤 돌아다닐 것”이라며 자신의 몸집만한 캐리어를 끌고 사라졌다.

[이가람 기자] 게임콘퍼런스 ‘지콘(G-CON) 2025’는 내러티브를 지향하며 총 16개 세션을 구성했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디자이너 호리이 유지와 ‘파이널 판타지 14’의 요시다 나오키 프로듀서,‘페르소나’ 시리즈의 개발자 하시노 카츠라·소에지마 시게노리 등 유명 인사가 연사로 강단에 오른다. 인디게임 개발자 축제인 ‘지스타 인디 쇼케이스 2.0:갤럭시’도 마련됐다.
지스타는 지금까지 규모의 확장을 거듭했다. 이제는 이야기를 확장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MMORPG·어드벤처·인디게임 등 다양한 작품을 수용하는 장르의 확장,웹툰·소설·영화 등 접목을 활용한 지식재산권(IP)의 확장,세계의 문화와 이야기를 모으는 글로벌 확장 등이 목표다. 잘 만들어진 서사는 작품의 완성도와 몰입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이날 오전 10시에는 지스타 개막식 행사가 진행됐다. 조영기 한국게임산업협회장,박형준 부산시장,최재환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장,박병무 엔씨소프트 대표이사,정연욱 국민의힘 의원,김성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참석해 지스타 시작을 축하했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의 현장 참관은 불발돼 아쉬움을 남겼다. 지스타는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하고 지스타조직위원회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공동 주관한다.
츄도 ‘선물 폭탄’ 기대 중…새작품·이벤트 경쟁 불붙은 게임사들
“코엑스에 도깨비 날아다니는 판타지”…‘K’ 품은 게임 대작 흥행 키워드는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Powered by
perplexity
036570,
KOSPI
237,500
- 1.86%
251270,
KOSPI
56,300
+ 0.54%
259960,
KOSPI
275,000
+ 1.10%
069080,
KOSDAQ
13,130
+ 2.42%
엔씨소프트
현재가 237,500
-1.86%
11.13 15:04
엔씨소프트는 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과 모바일 게임 등 다양한 장르의 게임을 개발 및 서비스하는 대표적인 게임사로,'리니지' 시리즈와 '아이온' 등 인기 IP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력과 안정적인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높은 브랜드 인지도,그리고 지속적인 신작 출시 역량이 강점입니다.
엔씨소프트는 '지스타 2025'의 메인 스폰서로 참여하여 300부스 규모의 단독 전시관을 운영하고,신작 '아이온2'를 최초로 공개하는 등 대규모 오프라인 이벤트를 통해 브랜드 강화와 신작 마케팅,유저 커뮤니티 활성화,게임 산업 내 영향력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국내외 게임 시장의 경쟁 심화와 글로벌 IP 확장,인디게임 및 다양한 장르의 성장세가 외부 환경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는 신작 중심의 사업 구조 재편과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넷마블
현재가 56,300
+ 0.54%
11.13 15:04
넷마블은 모바일 및 온라인 게임 개발과 퍼블리싱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국내 대표 게임사입니다. '세븐나이츠','마블 퓨처파이트','BTS 유니버스 스토리' 등 다양한 글로벌 IP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강력한 퍼블리싱 역량과 글로벌 파트너십,자체 개발력,그리고 대규모 유저 기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넷마블은 지스타 2025에 참가하여 전시관을 운영하였으며,신작 게임을 출품하고 체험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습니다. 이는 신작 게임의 대중적 노출,브랜드 이미지 제고,신규 유저 유입,그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마케팅 활동과 연계됩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크래프톤
현재가 275,000
+ 1.10%
11.13 15:04
크래프톤은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개발과 글로벌 퍼블리싱을 주력으로 하며,'PUBG: 배틀그라운드' 등 글로벌 흥행작 IP를 보유한 게임사입니다. 자체 개발 스튜디오와 글로벌 서비스 인프라,강력한 브랜드 파워,그리고 지속적인 신작 개발 역량이 주요 경쟁력입니다.
크래프톤은 지스타 2025에 참가하여 전시관을 꾸렸으며,다양한 방문객들이 신작 게임 체험과 유저 소통을 경험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습니다. 이는 신작 게임의 시장 반응 확인,브랜드 강화,글로벌 유저 확보,그리고 게임 산업 내 트렌드 선도와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글로벌 게임 시장의 경쟁 심화,IP 확장,모바일 게임 성장,그리고 정부의 게임산업 지원 정책이 주요 외부 변수입니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의 성공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최근에도 신작 중심의 사업 구조 재편과 R&D 투자 확대를 통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웹젠
현재가 13,130
+ 2.42%
11.13 15:04
웹젠은 온라인 및 모바일 게임 개발과 퍼블리싱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뮤' 시리즈 등 장수 IP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유지하는 게임사입니다. 자체 개발력,IP 활용 능력,그리고 국내외 퍼블리싱 역량이 경쟁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웹젠은 올해 지스타 2025에 참가하여 전시관을 꾸렸습니다. 다양한 게임사들이 신작 공개와 홍보에 집중하는 가운데,웹젠 역시 행사에 참여하여 방문객들에게 자사 게임을 알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최근 게임 산업의 모바일 전환,글로벌 IP 경쟁,정부의 게임산업 지원 정책,그리고 인디게임 트렌드가 주요 외부 변수로 작용합니다. 웹젠은 '뮤' IP를 활용한 사업 구조 재편과 모바일 게임 중심의 성장세를 이어왔으며,신작 출시와 퍼블리싱 역량 강화로 사업 안정성과 성장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Powered by
perplexity
지스타의 글로벌 참가사 확대가 국내 게임산업에 미칠 영향은?
게임 내러티브 중심 행사 강화의 배경은?
검색
11-13
11-13
11-13
11-13
11-13
11-13
11-13
11-13
11-13
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