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HaiPress
APEC 경북포럼
빌 게이츠 설립 테라파워CFO
안전·효율·비용면에서 뛰어나
트럼프행정부 SMR 적극 육성
한수원 본사·월성 원전 있는
경주가 핵심기지 역할 가능성
경주 특별취재팀 = 박동민 영남본부장·최승균·서대현·우성덕·김태성·고경호·박윤균 기자
◆ 세계지식포럼 ◆
11일 경북 경주시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세계지식포럼 2025 with APEC 경북'에서 벤저민 라잉키 엑스에너지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수석부사장(가운데)이 소형모듈원전(SMR) 생태계 조성 전략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특별취재팀
"소형모듈원전(SMR)은 안전성과 효율성,비용면에서 미래에 대체 불가능한 에너지가 될 것입니다."
11일 경북 경주시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세계지식포럼 2025 with APEC 경북'에서는 SMR 산업이 탄소 중립 실현과 기업 투자 유치 등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졌다.
경주는 한국 SMR 연구기관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와 한국수력원자력 본사,월성 원전 등이 있는 국내 원전 집적지이자 연구개발의 핵심 기지로 SMR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또 2023년 문무대왕면 일대가 국내 유일의 SMR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돼 2028년 착공을 앞두고 있다.
이날 포럼에 연사로 나선 스티븐 헬먼 테라파워 최고재무책임자(CFO)는 "SMR은 기존 원자로보다 설계도 단순하고 콘크리트나 철강 등 건설 자재가 훨씬 적게 들어간다"며 "에너지 효율성이 현저히 높기 때문에 미국 기업들도 미래 에너지원으로 가장 주목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헬먼 CFO는 "테라파워는 지난해 6월 미국에서는 처음으로 와이오밍주에서 4세대 SMR 원자로 건설 기공식을 했고 연말에 완공될 예정"이라며 "미국 행정부가 SMR 분야를 적극 지지하기에 빠르게 사업 승인을 해줬고 2030년 가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것으로 유명하다. 테라파워의 4세대 SMR 원자로는 345㎿급이지만 냉각재로 물 대신 액체 나트륨을 사용하는 게 특징이다. 액체 나트륨은 끓는점이 약 섭씨 880도로 물(100도)보다 높아 더 많은 열을 흡수하며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연사인 벤저민 라잉키 엑스에너지(X-energy)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수석부사장도 "SMR시장에 대한 투자가 이어지면서 현재 다양한 종류의 SMR이 등장하고 있다"며 "북미에서만 SMR 스타트업이 70개가 넘는다"고 말했다. 엑스에너지가 현재 개발 중인 대표적 원자로 모델인 'Xe-100'은 고온의 헬륨가스를 냉각재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라잉키 부사장은 "엑스에너지는 SMR 기술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인정받아 미국 정부,아마존에서 대규모 투자 유치도 이끌어냈다"며 "곧 미국 워싱턴주에서 아마존이 우리 회사의 원자로를 활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SMR은 다른 에너지원과 다르게 전력과 열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라잉키 부사장은 "SMR은 중화학 기업들의 제품 제조에도 활용될 수 있다"며 "텍사스에 발전소를 설립해 직접 폴리에틸렌 제조공업단지에 전력과 열을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SMR은 원자로 이용자들이 곧 소유자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용수 한국수력원자력 SMR 사업실장도 "SMR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생산된 열을 공장에서도 많이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라며 "SMR에서 앞으로 직접전력거래계약(PPA)이 가능해지면 대규모 전력을 소비하는 기업이 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국내 SMR 상용화를 위해선 부품 공급망 확대와 대중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 과제로 꼽혔다.
헬먼 CFO는 "SMR은 우수한 협력사 등이 아직 부족해 공급망 분야가 도전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라잉키 부사장은 "미국에서는 SMR 후보지 주민들 지지가 높다"며 "이는 SMR의 장점을 잘 알고 있고 이해가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경주 특별취재팀 = 박동민 영남본부장 / 최승균 기자 / 서대현 기자 / 우성덕 기자 / 김태성 기자 / 고경호 기자 / 박윤균 기자]
Powered by
perplexity
소형모듈원전 도입이 탄소중립 실현에 미칠 영향은?
국내 SMR 산업 육성 정책의 추진 배경은?
검색
09-11
09-11
09-11
09-11
09-11
09-11
09-11
09-11
09-11
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