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라이브 야외 여행 국내 서비스 패션 잡지 호텔 유가 증권 유아 용품 똑똑한 집 사업 뉴스 부동산 과학 기술 환대 음식 건강 교육 체육

정부, 엔비디아 GPU 5만장 공공에 투입...독자 AI 모델·컴퓨팅센터 속도

2025-10-31 HaiPress

엔비디아와 민·관 협력 관계 강화


최신 GPU 총 26만장 이상 확보


20만장은 삼성·SK·현대차·네이버서 활용


피지컬 AI 위해 현대차·엔비디아와 3자 MOU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지난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그래픽카드(GPU) ‘지포스’ 출시 25주년 행사에 참석해 있다. [사진 = 연합뉴스] 정부가 인공지능(AI)의 필수 인프라스트럭처로 꼽히는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총 26만장 이상을 확보하고,이 중 5만장을 공공 영역에 투입한다.

엔비디아와의 상호 협력 확대를 통해 정부 차원에서는 독자 AI 모델 개발에 힘을 싣고,민간에서는 피지컬AI와 제조 AI를 비롯한 미래 산업을 위한 투자를 확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AI 인프라 확보와 피지컬 AI 역량 강화,국내 기업과 엔비디아 간 협력 확대 등을 위해 엔비디아와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고 31일 밝히며 이같은 내용을 공유했다.

우선 엔비디아가 한국에 공급할 예정인 최신 GPU 26만장 중 공공 부문에는 약 5만장을 투입한다. 해당 GPU는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와 국가 AI 컴퓨팅센터 등에 공급될 예정이다.

20만장 이상을 공급받는 민간 부문에서는 삼성,SK,현대자동차,네이버 등이 GPU를 구매해 활용하게 된다.

앞서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인프라 확보를 위해 2028년까지 GPU 5만장을 구축하고,2030년까지 20만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내건 바 있다. ‘AI 3강’을 목표로 내걸은 한국은 그동안 부족한 GPU 자원이 약점으로 꼽혀왔던만큼,이번 공급 계획으로 일차적인 목표를 조기 달성하게 됐다.

GPU 공급 외에도 엔비디아는 피지컬 AI,제조,기술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 기업·연구기관과 협력을 약속했다.

이날 과기정통부는 로봇처럼 실제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작동하는 ‘피지컬 AI’ 산업 육성을 위해 현대자동차그룹,엔비디아와 3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해당 양해각서에는 국내 피지컬 AI 산업 육성을 위한 연구센터 등 AI 인프라 구축과 운영,자율주행과 제조·로보틱스를 위한 피지컬 AI 기술 공동 개발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통신 AI 기지국 개발...통신 3사와도 MOU

통신 분야에서는 차세대 AI 기지국을 위해 엔비디아와 국내 통신사들이 협력을 추진한다.

이날 오전에는 삼성전자와 SK텔레콤,KT,LG유플러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연세대와 엔비디아 간의 지능형 기지국(AI-RAN) 기술 공동 연구와 실증을 위한 MOU가 체결됐다. 이동통신 기지국에 AI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AI 서비스 확산에 부합하는 기지국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외에도 SK그룹은 국내 제조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협력 방안을 엔비디아와 논의했다. 엔비디아의 시뮬레이션,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하고 이를 국내 기업·기관에 개방하는 내용이 골자다.

엔비디아는 국내 연구기관과 슈퍼컴퓨터,양자컴퓨터,기초과학 연구 등 분야의 협력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을 포함한 국내 연구기관과 기술 연구를 위한 전문가 조직(CoE)를 구성해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국내 AI 스타트업 활성화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가 엔비디아와 협업해 진행하는 해외 진출 프로그램 ‘엔업(N-UP)’의 지원 규모를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배 부총리는 “엔비디아와 함께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제조업 역량 등 한국이 보유한 강점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투자”라고 강조했다.

AI가 뉴스를 읽고 숨겨진 투자 기회까지 찾아드립니다.


남들보다 한발 앞선 투자 인사이트를 얻어보세요.

닫기

기사 속 종목 이야기

Powered by

perplexity

삼성전자

005930,KOSPI

107,500

+ 3.27%

SK하이닉스

000660,

KOSPI

559,000

- 1.58%

현대차

005380,

KOSPI

290,000

+ 9.43%

NAVER

035420,

KOSPI

267,500

+ 4.70%

삼성전자

현재가 107,500

+ 3.27%

10.31 15:30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모바일,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는 글로벌 종합 전자기업입니다.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연산에 필수적인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가 한국에 공급하는 GPU 26만장 중 민간 부문에서 5만장을 구매해 활용할 예정입니다. 삼성전자는 이 GPU를 활용하여 AI 기반 반도체 제조 효율과 수율을 높이는 제조·설계 최적화 시스템을 개발하며,AI 팩토리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또한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AI 인프라 확장,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반도체 공급망 안정성,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 등 외부 환경 변화가 삼성전자의 사업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와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수요 증가가 지속되고 있으며,엔비디아와의 협력 강화가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SK하이닉스

현재가 559,000

-1.58%

10.31 15:30

SK하이닉스는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를 주력으로 하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입니다.


SK그룹은 엔비디아와 협력하여 AI 팩토리 구축,반도체 생산 효율 향상,디지털 트윈 및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AI 인프라 확장과 데이터센터 구축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AI 반도체 수요 확대,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 증가,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반도체 공급망 안정성 등 외부 환경 변화가 SK하이닉스의 사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의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으며,AI 인프라 확대에 따른 수요 증가가 주요 사업 환경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현대차

현재가 290,000

+ 9.43%

10.31 15:30

현대자동차는 완성차 제조,모빌리티 서비스,자율주행,로보틱스 등 다양한 미래차 사업을 전개하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입니다.


최근 현대자동차그룹은 엔비디아,정부와 함께 피지컬 AI 산업 육성을 위한 3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으며,자율주행과 제조·로보틱스를 위한 AI 기술 공동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AI 인프라 구축,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로보틱스 등 첨단 분야에서 엔비디아와의 협력 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모빌리티 혁신 등 미래차 산업 트렌드와 정부의 AI 산업 육성 정책,글로벌 기술 기업과의 협력 강화가 현대자동차의 사업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및 로보틱스 분야의 R&D 투자 확대와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기술 경쟁력 강화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NAVER

현재가 267,500

+ 4.70%

10.31 15:30

네이버는 검색,커머스,클라우드,AI,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대표 IT 기업입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로부터 6만장의 GPU를 공급받아 AI 인프라 구축에 활용할 예정입니다. 네이버는 자체 AI 모델 개발,클라우드 서비스 고도화,대규모 데이터센터 운영 등에서 엔비디아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AI 인프라 수요 확대,글로벌 빅테크와의 경쟁 심화 등이 네이버의 사업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및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와 대규모 인프라 투자 확대가 주요 경영 이슈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종목 자세히 보기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AI 추천 질문Beta

Powered by

perplexity

정부의 대규모 GPU 확보가 국내 AI 산업 발전에 미칠 영향은?

엔비디아와의 협력 확대가 한국 제조업 경쟁력 강화에 갖는 의미는?

검색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 저작권 2009-2020 중앙 데일리 뉴스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