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라이브 야외 여행 국내 서비스 패션 잡지 호텔 유가 증권 유아 용품 똑똑한 집 사업 뉴스 부동산 과학 기술 환대 음식 건강 교육 체육

한지 태우고 겹겹이 쌓아 그려낸 산과 물결…깊은 선으로 공명 일으켜

2025-08-28 HaiPress

갤러리현대 김민정 개인전


‘트레이스’ ‘Zip’ 연작 비롯


주요 작품 20여 점 한 자리


이강승·캔디스 린 2인전도


역사 속 은폐된 폭력성 탐구

김민정 작가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갤러리현대 전시장 전경. 작품은 ‘Traces’(2024) 연작이다. 갤러리현대 마음이 고되고 아무런 영감도 떠오르지 않던 때였다. 무작정 이탈리아 남부의 한 시골 해변가로 떠났다. 낭떠러지 위에 자리한 집에서 머물며 종일 파도 소리만 들었다. 며칠이 지났을까. 이 물소리를 그리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머리에 스쳤다. 그 길로 작업실에 돌아와 바닥에 종이를 놓고 육지 쪽으로 다가오는 파도의 고요한 물결을 그렸다. 한참을 두고 바라보니 그것은 산이었다. 먹으로 물 들이고 가장자리를 불로 태운 한지 작업으로 웅장하면서도 서정적인 산의 모습을 형상화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은 김민정 작가의 이야기다.

전통 수묵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온 김민정 작가의 개인전 ‘One after the Other’가 서울 종로구 갤러리현대 신관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작가가 2021년 갤러리현대 개인전 이후 국내에서 4년 만에 선보이는 개인전이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까지 프랑스 매그재단에서 개최한 개인전 ‘Mountain(산)’에서 선보였던 주요 연작을 비롯해 작가의 작품 세계를 망라하는 대표작 20여 점을 펼친다. 매그재단은 프랑스 최초로 설립된 독립 예술재단이자 유럽에서 가장 권위 있는 현대미술 재단이다.

특히 지난해 스위스 바젤에서 열린 ‘아트바젤 2024’의 언리미티드 섹션에서 큰 주목을 받았던 가로 폭 7.9m의 대작 ‘Traces’(2024)와 불 태운 한지를 지그재그로 쌓아 올린 ‘Zip’ 연작은 국내에선 처음으로 소개된다. ‘산’ 시리즈를 가로로 길게 펼친 대형 작업인 ‘Traces’와 관련해 김 작가는 “가장 큰 사이즈의 한지 4장을 이어 붙여 완성한 작품이다. 넓은 공간에서 큰 스케일로 작품을 접하다 보니 반향이 있었던 것 같다”며 “전시장에 한참을 앉아 있다 가거나 작품을 보다 눈물을 흘리는 관객도 있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김민정 ‘Zip’(2024). 갤러리현대

김민정 작가가 자신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갤러리현대에서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송경은 기자 그에게 물결은 ‘산’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종착점이기도 하다. 이번 전시에서 ‘Traces’를 가운데 두고 양쪽 벽면에 전시된 두 점의 ‘Timeless’(2024)는 그 길목에 있는 작품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산’을 얇게 자른 뒤 가장자리를 불로 태우고 이를 섬세하게 재배열해 완성했다. ‘산’에서는 불에 탄 한지의 가장자리 선이 구불구불하게 산봉오리 모양을 띠었다면,‘Timeless’의 선은 반듯하고 평행하게 쌓인 모습이다. 이는 작품명처럼 무한히 반복될 것만 같은 느낌을 준다. 김 작가는 “물결이라는 것은 물이 마르지 않는 이상 항상 그곳에 존재한다는 데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시장 2층에 걸린 ‘Nuit la mer(밤 바다)’ 역시 작품 속에 드러난 형상이 산에서 물결로 나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산’ 연작을 작업하면서 버려진 자투리 한지 조각들을 모아 밤 바다에 달이 비친 모습을 표현했다. 검은 먹을 입힌 한지로 완성된 화폭은 월광에 비친 잔잔한 밤 바다의 물결을 연상시킨다. 김 작가는 “결국은 ‘산’ 작업에서 나온 것들을 잘라서 원래 하고 싶었던 ‘물’ 작업을 하게 된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롭게 선보이는 연작 ‘Zip’은 화면의 조형 요소뿐만 아니라 색채에 있어서도 이전과는 다른 시도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앞선 작품들에서는 불에 그을린 한지 끝의 비정형적인 선이 자연스럽게 펼쳐지면서 심연 깊숙이 자리한 명상의 세계로 안내했다면,‘Zip’을 이루는 선들은 더욱 반듯하고 정갈한 느낌으로 사색에 빠지게 한다. 또 ‘산’ 연작의 경우 파랑,빨강 등 한 가지 계열의 색을 썼고,그마저도 후반부 작업으로 갈수록 무채색에 가깝게 점점 색이 옅어지거나 빠졌다. 반면 ‘Zip’에서는 다양한 색띠가 하나의 화폭에 등장해 조화를 이룬다.

“‘Zip’은 서로 다른 두 요소가 맞닿아 하나로 이어지는 순간이다. 지그재그 형태 속에서 이중성은 마침내 하나로 수렴하며,그 과정 자체가 깊은 울림을 남긴다. 불에 그을린 종이를 한 장 한 장 이어 붙이면,상처를 감싸는 치유와 조화의 숨결이 피어난다.”

김민정 ‘Predestination’(2024). 갤러리현대

이강승·캔디스 린 작가의 2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 전시장 전경. 갤러리현대 한편 갤러리현대 구관(현대화랑)에서는 오는 10월 5일까지 이강승,캔디스 린 작가의 2인전 ‘나 아닌,내가 아닌,나를 통해 부는 바람(Not I,not I,but the wind that blows through me)’을 개최한다. 특히 캔디스 린의 경우 국내에서 갖는 첫 갤러리 전시다. 드로잉,자수,영상,회화,조각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드는 두 작가의 신작 30여 점을 선보인다.

이강승과 캔디스 린은 사회적 제도에 의해 배제되거나 역사 속에서 지워지거나 잊혀져간 인물과 공동체의 서사를 지속적으로 조명해온 작가다. 두 사람의 작업은 권력 구조와 통제,욕망과 지배의 메커니즘을 드러내며 간과되거나 은폐된 사회적 갈등과 폭력성,역사적 실체를 드러낸다. 전시 제목은 영국의 시인이자 소설가인 데이비드 로렌스의 시 ‘헤쳐 나온 자의 노래’의 한 구절에서 따온 것으로,억압된 역사와 기억이 다시 살아 숨 쉬고 세대를 넘어 순환하길 바라는 마음이 담겼다.

일례로 이강승의 ‘무제(피부,별자리)’(2025)는 진주와 자개,삼베,흑연 드로잉,양피지 등을 활용해 여러 대륙과 도시에서 세대를 거듭하며 지워졌던 퀴어의 파편들을 밤하늘의 별처럼 재구성한 작품이다. 캔디스 린의 회화 6점은 작가가 최근 경험한 감정과 우리가 마주한 정치·사회적 현실에 대한 시선을 담아낸 작업이다. 가자 지구에서 벌어지고 있는 집단 학살,세계 곳곳의 시위 등 오늘날의 현실 속에서 그는 무력감과 죄책감,혼란을 포착한다.

캔디스 린 ‘바느질’(2025). 갤러리현대

이강승 ‘무제(피부,별자리 8)’(2025). 갤러리현대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
© 저작권 2009-2020 중앙 데일리 뉴스      연락주세요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