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예상 밑돈 고용 통계에 “조작”
공화당 내에서도 “철 좀 들어라” 비판

트럼프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미국의 고용 현황이 나빠졌다는 통계가 나오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작된 통계”라며 에리카 매켄타퍼 노동부 고용통계국(LBS) 국장(53)을 해고했다.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으로 일자리가 돌아올 것이라는 기존 주장과 상반된 통계가 나오자 임기가 2년 넘게 남은 통계 책임자를 경질한 것. 이와 관련 여당인 공화당 내부에서조차 “철 좀 들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 시간) 트루스소셜에 “바이든 정부가 임명한 매켄타퍼 노동통계국장은 카멀라 해리스의 대선 승리를 돕기 위해 일자리 수치를 조작했던 인물이며,이번에도 똑같은 일이 벌어졌다. 바이든 대통령이 정치적으로 임명한 이 자를 즉시 해고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트럼프 대통령 발언은 노동통계국이 고용 수치를 발표한 직후 나왔다. 노동통계국은 7월 비(非)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7만3000개 늘었다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10만~11만명)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시장 이목을 끈 것은 지난 5~6월 일자리 수치다. 노동통계국은 전체 표본의 약 70%를 기반으로 고용 잠정치를 산출하고,한두 달 뒤 나머지 표본을 보완해 확정치(수정치)를 발표한다. 이날 노동통계국은 지난 5월과 6월 확정치를 한꺼번에 내놨는데,5월 비농업 일자리 증가폭은 종전 발표된 14만4000명에서 1만9000명으로,6월 증가폭은 14만7000명에서 1만4000명으로 각각 하향 조정됐다. 두 달간 총 25만8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는 의미다.

에리카 매켄타퍼 미국 노동부 노동통계국장. (사진=로이터연합뉴스) 해임된 매켄타퍼 국장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지명과 상원 인준을 거쳐 지난해 1월 말 임기를 시작했다. 임기는 4년이지만 정무직이기 때문에 대통령이 언제든 해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매켄타퍼 국장은 2년 5개월가량 임기가 남은 상태에서 물러나게 됐다.이후 전문가들의 거센 비판이 이어졌다. 트럼프 1기 행정부에서 고용통계국장을 지낸 윌리엄 비치 전 국장은 뉴욕타임스(NYT)에 “대통령 주장에는 아무런 근거도 없다. (매켄타퍼 국장 해고는) 다른 통계의 독립성까지 위협하는 위험한 선례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매켄타퍼 국장과 함께 인구조사국에서 근무했던 경제학자 마이클 스트레인은 워싱턴포스트(WP)에 “정부 통계가 정확하고 정치적으로 편향되지 않았다는 믿음은 중요하다. 대통령이 통계를 정치화했다”고 비판했다.대통령 입맛에 안 맞는 통계가 나왔다는 이유로 고위 공직자가 해고당하자 집권 공화당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톰 틸리스 공화당 상원의원(노스캐롤라이나주)은 “숫자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이유로 해고를 했다면,(트럼프는) 철이 들어야 한다”고 비난했다.한편 고용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이 수입 물가와 소비자 물가를 자극해 미 경제에 타격을 미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경제가 비틀거리고 있다’는 사설을 통해 “미국의 일자리와 성장이 썩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논평했다.한편 다음달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기대는 높아지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 전망을 진행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 페드워치는 2일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확률을 80.3%로 분석했다. 7월 고용보고서가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60%대였다.
면책 조항 :이 기사는 다른 매체에서 재생산되었으므로 재 인쇄의 목적은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지,이 웹 사이트가 그 견해에 동의하고 그 진위에 책임이 있으며 법적 책임을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 사이트의 모든 자료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되며, 공유의 목적은 모든 사람의 학습과 참고를위한 것이며, 저작권 또는 지적 재산권 침해가있는 경우 메시지를 남겨주십시오.